페이지 정보
구의베스트내과 61 0 2024-12-13 13:44:31관련링크
본문
안녕하세요. 구의베스트내과 입니다.
오늘은 피검사로 나오는 암 예측인자 CEA가 올라가 있던 환자분의
위, 대장내시경 사진을 보여드리고 치료 후 CEA 수치가 어떻게 되었는지까지 보여드리겠습니다.
60대 기저질환 없는 여자분
타원에서 건강검진 시행한 결과
CEA가 증가하여 본원에 내원하였습니다.
CEA가 뭔가요?
CEA는 Carcino-Embryonic Antigen의 약자로
한글로 풀어보자면 암-태아성 항원 입니다.
CEA는 우리 몸에서 암이 없으면 소량만 존재하지만
암이 생기면 CEA가 체내에서 생성되고
피검사에서 CEA가 올라갑니다.
CEA 정상 수치는 비흡연자 기준 3 이하, 흡연자들은 5 이하가 정상입니다.
이 환자분의 경우 비흡연자로 CEA 3 이하가 정상 수치지만
3.64로 증가되어 있었습니다.
CEA의 한계점
암이 있을 때 올라가는 CEA 수치라니
그럼 암을 진단할 때 도움을 줄 수 있을 것 같지만
실제로 임상에서 암 진단 목적으로 쓰이기엔
한계점이 존재합니다.
1. 낮은 민감도
낮은 민감도라는 의미는
암이 없는 정상인에서도 CEA가 오를 수 있다
라는 의미입니다.
무증상 검진에서 CEA가 올랐다고
"내가 암이라고??"
이렇게 너무 좌절할 필요가 없다는 의미입니다.
2. 낮은 특이도
낮은 특이도라는 건 CEA가 올라간다고 해서
어떤 암인 지 바로 알 수 없다는 점입니다.